Rachmannov: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피아노 협주곡/-라흐마니노프 2006. 6. 19. 03:38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Sviatoslav Richter).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삶을 살았던 피아니스트로 손꼽히는 인물. 바흐에서부터 모짜르트, 베토벤, 차이코프스키, 프로코피에프에 이르는 너무도 방대한 레퍼토리의 연주를 남겼으며 연주의 폭과 다양성, 그리고 중용의 묘를 제대로 지키는 점에서 어느 누구도 리히터의 위대함을 따라갈 자가 없다. 대단히 강렬하면서도 차분한 연주를 하였으며 수많은 주옥같은 음반들을 남겼다. 젊었을 때의 모습을 보면 얼핏존 말코비치와 닮은것 같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v). 19세기와 20세를 관통하는 위대한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 그의 음악은 방대한 스케일을 바탕으로 매우 서정적이고 강렬함과 동시에음산한느낌을 준다.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에 관한 두가지 이야기
1. 차승원, 박용우 주연의 '혈의 누'를 보면 BGM으로 은은하게 깔리는 멜로디가 있다. 처음에웅장한 느낌을 주며시작하는 멜로디는피눈물이란 영화의 제목처럼애절하게 다가오는 피아노의 소리가 분위기를 압도한다. 난 영화를 보는 내내 매우 익숙한 이 멜로디를 들으며 '이게 무슨 음악이었더라'를 계속 생각하며 영화에 제대로 집중을 못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_-;
이 음악은 바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의 1악장이다.
2. 한 개그맨이 그 옛날 박세민의 개그를 다시 레퍼토리로 사용하며 더욱유명해진 곡이 있다. 바로 Eric Carmen이 불렀고 셀린 디옹이 리메이크한 명곡인'All by my self' 이다. 이 노래의 클라이막스에서 'All by my self~~~~'하며 열창하는 부분이 '오빠 만세~~~'처럼 들린다. 정말이지 보면서 한참동안 배가 아프도록 웃었던 기억이 새롭다.
All by my self는 사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의 2악장을 차용(借用)하였다.
쇼팽, 리스트처럼 평소에 익숙한 피아니스트, 작곡가가 있는 반면에 라흐마니노프는 어느 정도 클래식 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알 수 있는 이름일 것이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라흐마니노프의 역사적인 명곡인 피아노 협주곡 2번의 멜로디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상당히 친근하게 다가온다는 것을알 수 있다.
라흐마니노프는 4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남겼는데 이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전세계적으로널리 연주되는 곡이 바로 2번 협주곡이다.
1901년에 작곡가 자신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이후명성있는 피아니스트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수많은 피아노 협주곡들 중에서 가장많이 연주되고 있는 곡 중의 하나이다.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에 대하여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라흐마니노프는 항상 짧은 머리를 고수했다. 옷도 잘 못 입었고 항상 구부정한 자세와 내성적인 성격에 말수도 적어남들과 친하게 지내기 힘든 성격이었다고 한다. 어떤 이는 그의 이런 모습을 보고 죄수와 같다고 놀리기도 했었다. -_-; 그리고 이러한 그의 내면의 성격이 그의 음악에도 그대로 투영되는 듯 하다.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은 대체로 서정적이면서 어둡다. 그리고 대단히 큰 스케일과 함께음험한 기운이 밀려오는 것이 느껴진다. 이렇게 표현하면 어떨까? 광활한 러시아의 벌판에서 홀로 눈바람을 맞고 있는 느낌? 혹은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선박의 갑판에 홀로서서 칼바람을 맞는 느낌이라고 표현하면 좋을 것이다.
본래 피아니스트로 출발하여 불멸의 명작인 4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남겼고 그외에도 교향곡, 오페라, 가곡, 합창곡도 작곡하는 등 대단히 왕성한작곡활동을 하였다. 볼세비키 혁명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그 명성을 날렸고 2차대전 중엔조국 러시아를 위해 모금운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훗날 소련정부의 권유로 귀국을 도모하였으나 70세의 나이로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에 대하여
리히터는 20세기를 살았던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로서 그가 끼친 영향력은그야말로대단하다는 말로도 부족한데 그의 위대한 업적은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호로비츠와도 비할 바가아니다.
예술가의 위대함을 판단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는
1. 완성도 2. variation(다양한 레퍼토리) 3. 대중적 인기, 흡입력
이상의세 가지를 모두 완벽하게 갖춘 정말 흔치 않은 피아니스트가 바로 리히터였다. 호로비츠는 리히터에 비해 레퍼토리면에서 지극히 편협적이었고(특히 베토벤에 있어서 좋은평가를 받지 못했다. 피아니스트에게 베토벤 연주에 대한 악평은 대단히 치명적이다) 완성도면에 있어서도 그는 제르킨이나 리히터에 미치지 못했다. 그만큼 리히터는대단한 피아니스트였다.
리히터는 대단히 굴곡많은 인생을 살았던 사람이다. 그의 아버지는 원래 독일출신이었다. 러시아에서 정착하여 살았으나 2차대전 중에 그의 아버지는 독일인이라는 이유만으로총살을 당하고 만다. 그리고 이 난리통속에서 그의 어머니와 삼촌은 서독으로 급히 이주를 하였고 고향을 떠나 모스크바에서 유학중이던 리히터는 그 사실을 까맣게 모른채 그저 가족이 몰살당했다는 소식만을 듣게 된다.
무려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후에 리히터는 1960년에 이르러서야 오이스트라흐, 길렐스, 로스트로포비치의 뒤를 이어 비로소 서방세계에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리고어머니와 감격의 재회를 하던 그 연주회에서 그는 베토벤 소나타를 연주하였고지난 세월의 절망과 환희가 교차하는 모든 격한 감정을 실어그야말로 피아노가 부서질 듯이 내리치는 엄청난광기어린 연주로세상을놀라게 하였다.
리히터의 서방세계 연주는 앞서 언급한대로 1960년대에 이르러 뒤늦게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이에 앞서 에밀 길렐스라는 또 하나의 러시아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가이미 서방세계에 자신의 위엄을 떨치며 세상을 경악케 하고 있었다.
수많은 서방세계의사람들이 길렐스에게 극찬과 존경을 보냈을 때 길렐스는 "우리나라에 가면 리히터라는 훌륭한 피아니스트가 있다. 나보다는 그를 기다려라" 고 말했다고 한다. 이 말을 들은 서방세계의 예술인들은 도대체 소련엔 얼마나 뛰어난 예술가들이 많을지궁금했을 것이고소련이 뛰어나고 훌륭한 나라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리고 드디어 1960년부터 서방세계에 자신의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리히터는 모두의 예상대로 세상을 경악케 하며 그의 명성을 온누리에 떨쳤다.
(* 길렐스와 리히터는 한 살 차이의 매우 친한 친구이고 라이벌이었다. 둘은 서로를 매우 존경했고 길렐스가 '황제' 를 레코딩했으므로 리히터 자신은 할 필요가 없을 정도라고까지 이야기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리히터는 레퍼토리의 다양성에 있어서 여느 피아니스트들과 비교 자체를 불허할 정도로 대단히 연주의 폭이 넓고 다양하다. 바흐의 평균율 연주도 리히터의 연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모짜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슈만, 리스트, 차이코프스키, 라흐마니노프,프로코피에프 등에 이르는고전주의 작가부터 현대작가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엄청나게다양한레퍼토리를 자랑한다. 또한 다양한 레퍼토리와 반비례할 수 있는 작품의 완성도에 있어서도무결점에 가까운 완벽함을 자랑한다.
- 리히터의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리히터가 연주한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 2번 음반.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과 함께 수록되었다. 라흐마니노프 2번의 가장 대표적인 단 한장의 음반이며 바로 라흐마니노프 2번 협주곡의 정점(頂点), 궁극에 있는 음반이라 할 수 있다. 이의를 제시할 수 없는 최고 중의 최고의 음반.
아쉬케나지, 바샤리, 리히터, 쇼콜로프, 루빈스타인, 백건우 등이 이 곡을 연주했다. 1929년에 라흐마니노프 자신에 의해 레코딩된 음반도 발매하였다.
리히터의 연주는 때론 강렬하고 직선적(1악장) 이면서도 대단히 서정적이고 우아한느낌을 준다(2, 3악장).
피아니스트가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은 대체로 관현악과 피아노가 겉도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라흐마니노프는 적절한 조화를 통해 최대한의 상승효과를 끌어냈다는 점에서 이 곡은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는다.
Sergei Rachmaninov(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작곡
Sviatoslav Richter(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Warsaw Philharmonic Orchestra
Stanislaw Wislocki 지휘
1959.4.26-28 Warsaw, Philharmonie 녹음
전악장 연속재생
2악장-Adagio sostenuto
3악장-Allegro scherzando
'피아노 협주곡 > -라흐마니노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in C minor op. 18(V, Ashkenazy) (4) | 2006.08.05 |
---|---|
RACHMANINOV: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op. 43 (2) | 2006.08.05 |
Piano Concerto No. 3 in D minor op. 30-3 (0) | 2006.07.10 |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in D minor op. 30(Vladimir Horowitz) (0) | 2006.07.10 |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in D minor op. 30 (0) | 2006.06.19 |